2022년 7월 공모주 청약 일정 소개해드립니다.
1. 영창케미칼
영창케미칼은 2001년 설립과 함께 반도체 공정 재료 사업에 뛰어들어 적극적으로 R&D 투자, 핵심 기술 인재 육성, 제조 기반의 투자 확대를 수행해 왔습니다. 그 결과 최첨단 분야인 반도체 공정 재료 부문에서 특수 Surfactant와 polymer를 활용하여 ArF 공정 시 패턴 쓰러짐을 방지하는 용액 개발에 성공하여 상용화하였습니다.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2016년에는 EUV 공정용 패턴 쓰러짐 방지 용액과 현상액을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현상력 향상과 Profile 개선 효과가 있는 PHOTO Mask 현상액(Developer), Capacitor의 쓰러짐 방지와 세정력 향상을 위한 세정액, 높은 두께 및 고해상도가 가능한 다양한 KrF, i-Line Photoresist, BARC, SOC, CMP Slurry, Thinner류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재료의 다변화와 신소재 제품 개발에 진력하며 한국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혁신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Slurry 및 Wet Chemical 소재의 생산능력 확보를 위해 성주일반산업단지에 2020년부터 2022년까지 4,818평 부지 규모에 200억원 가량의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노광 공정용 소재와 더불어 후공정 소재까지 아우르는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진화할 것입니다.
2. 대신밸런스제12호스팩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입니다.
3. 에이치피에스피
에이치피에스피는 고유전율(High-K) 절연막을 사용하는 트랜지스터의 계면특성을 개선하는 고압열처리 장비에 대한 연구개발 및 제조, 판매를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고압수소 열처리 장비는 반도체 소자 계면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표로 연구개발하여 제품화한 반도체 전공정 장비로, 동 장비는 트랜지스터 막을 형성하는 High-K 소재(HfO2, 하프늄옥사이드)의 28나노미터(이하 "nm") 이하 공정에서 발생하는 터널링 현상으로 인한 누설전류를 막기위해 도입되었습니다.
High-K 소재의 유전율은 기존 SiO2 비해 5배 이상 높으나 High-K 소재를 채택할 경우 "Interface Defect”발생 수준이 기존 SiO2 대비 100배 증가하여 전반적인 반도체performance를 제한시키게 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Solution이 고압에서 가스 농도를 높여 저온 공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압어닐링(High Pressure Annealing, 이하 "HPA")공정의 개발입니다. 고압어닐링 기술은 수소(H2)/중수소 (D2)를 이용한 화학 작용을 통해 Interface Defect에 H-Si (Hydrogen-Silicon) bonding을 형성하여 Interface Defect를 전기적으로 비활성화(passivate) 함으로서 구동전류 및 집적회로의 속도를 현저히 개선시킵니다.
상기 기술을 활용한 당사의 GENI-SYS 장비는 전세계 고압 관련된 인증을 받고 메이져 고객사의 양산 Fabrication(이하 "Fab")에서 가동중인 유일한 고압 열처리 장치로, 28/32nm 이하 적용공정에 필수적으로 권장됨에 따라 향후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의 지속적인 공정 미세화로 인한 주요 수혜업체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루닛
루닛은 2013년에 설립된 딥러닝 스타트업으로 2014년부터 의료영상 분야에 집중하면서, 글로벌 1세대 의료 인공지능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인공지능을 통해 암의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여, 기술이 인류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사용되는 미래를 이끌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딥러닝 기술을 통해 인간의 시각적 한계를 보완하는 판독 보조(AI-assisted detection) 솔루션을 개발하여 상용화하였으며, 뛰어난 딥러닝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인간의 시각 인지 능력과 패턴 인식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여, 의료영상 기반의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찾아내는 이미징 바이오마커(AI imaging biomarker) 솔루션을 개발하였습니다. 의료 인공지능 산업에서 새롭게 개척하고 있는 분야로서,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인간이 해내지 못한 의학적 혁신을 이루고자 합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로는 암 진단 관련 영상 판독 보조 솔루션인 Lunit INSIGHT와 암 치료 관련 이미징 바이오마커 솔루션인 Lunit SCOPE이 있으며, Lunit INSIGHT의 경우, 글로벌 의료기기 제조사 및 유통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글로벌 영업망을 빠르게 확보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선두 의료영상장비 기업인 지이헬스케어(GE Healthcare), 필립스(Philips), 후지필름(Fujifilm) 등을 통해 각 지역의 판매채널을 효과적으로 선점하였습니다. Lunit SCOPE의 경우, 글로벌 액체생검 선두 업체인 가던트 헬스(Guardant Health)를 비롯하여 제약회사, 임상시험 전문기관, 진단검사 수탁기관 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용 판매를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 의료기기 허가를 획득하여 임상용 판매로 시장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5. IBKS제18호스팩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입니다.
6. 성일하이텍
성일하이텍은 전기차, 휴대폰, 노트북, ESS(에너지저장장치), 전동공구 등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리튬이온2차전지(이하, 2차전지)로 부터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리사이클 전문기업입니다. 2차전지는 크게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등 크게 4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극재는 전지의 전압, 에너지밀도, 수명, 출력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소재로 배터리 셀 가격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고가의 소재입니다. 양극재는 주로 코발트, 니켈, 망간 및 리튬 등의 물질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당사는 황산코발트, 황산니켈, 황산망간 및 탄산리튬의 형태로 양극재의 기초가 되는 소재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제조사의 공정 중에 발생하는 스크랩과 사용 후 폐배터리 등을 리사이클링하여 양극재 원소재를 생산함으로써 사람과 자원의 소중함을 가치로 여기는 친환경 정책에 이바지 하고자 기업을 설립하였습니다.
7. 에이프릴바이오
에이프릴바이오는 2013년 교원창업 형태로 설립된 연구개발 중심기업으로, 인간항체 제작 기술과 단백질의약품 반감기 증대 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 의약품중 단백질 의약품에 속하는 항체치료제 및 지속형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항체를 찾아내어 원하는 타겟 항원 결합 능력을 지닌 인간 항체 신약 후보물질을 획득할 수 있는 항체라이브러리(HuDVFab library) 기술과 당사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선별된 혈청 알부민과 특이적 그리고 고친화도로 결합하는 인간 Fab 항체 절편(SL335로 명명)을 활용하여 약효단백질의 혈청 내 반감기를 증대시키는 지속형 원천 기술인 SAFA(anti-Serum Albumin Fab-Associated technology)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 두 기술의 조합을 통해 항체의약품, 이중항체, 지속형의약품, ADC 적용 항체 등 매우 다양한 신약후보의 제작이 가능합니다. 현재 당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은 항체라이브러리와 SAFA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8. 신한제10호스팩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입니다.
9. 아이씨에이치
아이씨에이치는 기초소재, 복합소재, 첨단소재의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IT기기 소재ㆍ부품을 제품화하여 자체 양산, 공급하는 친환경 유연소재(Flexible Material) 기반 첨단 회로소자 전문 기술 기업입니다. 2012년 설립 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점착 코팅 및 박막화 기술(기초소재 기술), 다기능과 다층 구조화 기술(복합소재 기술), 친환경 상온 프레스 패턴화 기술(첨단소재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지적 재산권을 확보하였습니다. 현재는 기술사업 분야 확대를 위해 신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기술고도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독자 개발한 친환경 상온프레스 패턴화 기술은 첨단 회로소재 제품의 생산 공정을 정밀하게 설계하여 단순화, 자동화한 기술로 양산공정에 적용하여 세계 최초로 친환경 유연 박막 안테나(MFA, Metal Foil Antenna) 개발에 성공하고, 양산 판매 중입니다.
당사 핵심 제품인 친환경 유연 박막 안테나는 IT기기에 탑재되어 안테나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입니다. 그 외의 제품으로 복합소재 제품군(전자파 차폐 가스켓, 방열 복합소재 등)과 기초소재 제품군(IT 기기용 점착 테이프 등)이 있습니다.
10. 수산인더스트리
수산인더스트리는 2003년 1월 화력발전설비 경상정비 참여를 시작으로, 2004년 7월에는 민간업체 최초로 원자력발전설비 경상정비에 참여하였으며, 2013년에는 양수발전설비 경상정비 사업을 수주하며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016년 포스코그룹으로부터 포뉴텍(현 수산이앤에스)을 인수하여 기존 기계/전기에서 나아가 계측분야 정비로 사업영역을 확장했으며, 발전설비 관련 다양한 고부가가치 사업(예, 핵연료 운반용역)을 수주하며 사업포트폴리오를 다변화했습니다. 또한 해외진출인력 양성과 해외법인 설립을 통해 해외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며, 발전설비 정비 사업의 Total Solution Provider로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발전설비를 대상으로 한 정비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의 목표시장은 경상정비, 계획예방정비, 그리고 기타공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1. 대성하이텍
대성하이텍은 정밀부품, 스위스턴 자동선반, 컴팩트 머시닝 센터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12. 유안타제9호스팩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입니다.
13. 새빗켐
새빗켐은 폐수처리 약품 사업을 시작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산을 재활용하여 비료 원료가 되는 인산 등을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하며 성장하였으며, 현재는 폐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양극활물질을 정제ㆍ분리하여 전기차에 적용되는 리튬이차전지의 부원료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특허와 이노비즈 중소기업 인증을 비롯하여 ISO 9001, 140001, KOSHA 18001까지 국제규격의 품질·환경·안전분야 인증을 모두 획득하여 성장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지질자원연구원,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대학교 등과 산학연구를 통한 끊임없는 기술개발로 시설투자 및 인력창출을 지속해왔고 2020년 경상북도 일자리창출우수기업에 선정된 바 있습니다.
현재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크게 폐전지 재활용 사업과 폐산 재활용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