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ε 재테크 з/ETF

ETF란? (1. ETF의 개념)

by 설화연화비 2021. 9. 18.
728x90
반응형

 

 "저금리 시대에 돈을 모으려면 ETF를 해야 한다."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요즘 ETF에 대해서 언급을 많이 하는데 주변만 둘러보아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은 부족한 것 같아서 21세기 최고의 투자 금융상품이라 불리는 ETF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1. ETF란?

 

ETF의 사전적 정의는 아래와 같이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를 말합니다.

 

etf
<ETF - 네이버 시사경제용어사전>

 

  ETF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덱스 펀드에 대해서 이해해야 합니다.

펀드는 목표수익율에 따라 액티브펀드와 패시브 펀드로 나뉘며 패시브 펀드 중 대표적인 것이 인덱스 펀드입니다.

 

ⓐ 엑티브펀드 (Actice Fund)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개입을 하여 본인의 예측 능력을 바탕으로 높은 실적을 추구하는 펀드입니다.

그만큼 패시브 펀드보다 수수료가 높으며 리스크도 더 큽니다.

 

ⓑ 패시브펀드 (Passive Fund)

패시브펀드는 특정 지수에 속해있는 종목을 담아 지수에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액티브 펀드와 달리 펀드매니저가 소극적으로 개입을 하여 액티브펀드에 비해 수수료가 낮고 리스크도 작습니다.

패시브 펀드 중 대표적인 것이 인덱스 펀드입니다.

 

ⓒ 인덱스펀드 (Index Fund)

목표 지수에 속한 종목을 담아 이 지수와 같은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펀드입니다.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킨 것이 ETF입니다.

 

반응형

 

  ETF는 펀드이면서 거래소에서 주식과 같이 거래도 되기 때문에 펀드와 주식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주식은 직접 투자가 가능한 반면 ETF는 펀드이기 때문에 자산운용사를 통해서 간접투자만 가능합니다.

흔히 개인 투자자들이 분산, 간접, 장기투자의 원칙만 지켜도 성공한다고 하는데 이것을 모두 지킬 수 있는 것이 ETF입니다. ETF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이 되어 주식 외에도 채권, 원자재, 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 가능합니다.

 

 

  앞서 ETF는 자산운용사를 통해서 간접 투자를 할 수 있다고 말씀을 드렸는데 ETF는 자산운용사에서 만듭니다. 자산운용사별로 만드는 ETF의 이름이 상이하며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삼성자산운용 : KODEX

ⓑ 미래에셋자산운용 : TIGER

ⓒ KB자산운용 : KB STAR

ⓓ 한국투신운용 : KINDEX

ⓔ 한화자산운용 : 아리랑

 

  즉, KODEX 2차 전지산업과 같이 이름에 KODEX가 붙어있으면 삼성자산운용에서 관리하는 ETF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서론이 길어졌는데 다음 편에 ETF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