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ε 재테크 з/공모주 청약

1. 케이카 청약정보 및 기업분석

by 설화연화비 2021. 9. 30.
728x90
반응형

 

 

오늘은 오늘부터 청약에 들어가는 케이카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공모정보

 

케이카 공모정보
케이카 공모정보

 

 

 

2. 회사 개요

 

반응형

 

케이카는 국내 최대의 온오프라인 중고차 매매업을 하는 회사로 전신은 다들 알고 있는 SK엔카입니다.

2018년 SK그룹에서 사모펀드인 한앤컴퍼니에 매각되었으며 21년 2월 조이렌터가와 합병을 하며 렌터카 시장에도 진출을 하였습니다.

중고차 이커머스 시장에서는 점유율은 80% 이상으로 압도적이나 중고차 판매 업체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아 개인 거래가 많기 때문에 전체 중고차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20년 기준으로 3.42% 입니다.

중고차 시장이 매년 연평균 5% 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온라인을 통한 거래가 빠르게 성장을 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시장 점유율 확대(18년 2.02%)에 따라 매출은 성장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현대차의 중고차 시장진출에 대한 문제 및 반도체 수급이 정상화에 따른 중고차에 대한 수요가 둔화는 리스크로 볼 수 있습니다. 

 

 

3. 재무정보

 

매년 꾸준히 성장을 하며 수익도 발생하고 있지만 이익율이 높지는 않습니다.

매출액 대부분은 중고차부분의 매출이며 렌터가부분은 21년 상반기 227억 발생하였습니다.

21년도 부채비율이 전년도 100%에서 145%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2월에 진행한 조이렌탈 흡수합병 및 배당금 지급에 의한 것으로 동종업계보다 부채비율(199%)이 낮으며 꾸준히 매출이 발생하고 수익성이 있기 때문에 리스크는 제한적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케이카 재무정보
케이카 재무정보. Dart 참고

 

 

4. 공모가 산정 및 평가

 

 

 

 

PSR 방식으로 공모가를 산정하였습니다. P/S은 시총이 매출액의 몇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성장성이 좋은 산업군에 사용이 됩니다. 비교 기업들의 평균 P/S를 산출 후 21년 예상 매출을 반영하여 주당 평가가액 56,823원을 산출하였으며 할인율 39.6% ~ 24.0%를 적용하여 희망 공모가 밴드 34,300 원 ~ 43,200 원이 나왔습니다.

 

2021년 2분기 기준 비교회사 PSR 거래배수 산정 내역
2021년 2분기 기준 비교회사 PSR 거래배수 산정 내역. Dart 참고.

 

그러나 미국과 우리나라는 중고차 시장의 규모 자체가 다르고 20년 주가가 급등한 Cavana를 포함함으로 인해 P/S 배수가 크게 증가(약 2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공모가에 대한 논란이 계속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의무확약비율을 3개 기관만 3개월 확약을 하며 확약비율이 4.9%인데 이는 균등 배정 이후 평균치(16.8%)보다 매우 낮은 수치입니다.

구주 매출(91%)도 매우 많습니다. 현재 한앤코오토서비스홀딩스가 지분을 100% 보유 중인데 구주매출이 흔히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 비율이 너무 높은 것 같습니다. 현재 한앤코오토서비스홀딩스가 보유 중인 지분을 일반 청약자들이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모펀드의 자금회수 목적으로 진행을 하는 것 같습니다. 자금사용용도도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으로 398억만 공개되어 있네요.

 

그 결과 29일 기관 수요 예측 결과 40:1이라는 매우 저조한 경쟁율을 보였으며 확정 공모가는 희망 공모가 밴드 하단보다 낮은 25,000원(공모가 상단 대비 57.8%)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앞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밸류 체크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재무지표가 나쁘지는 않고 유통가능물량이 적은 것은 긍정적으로 보이지만 시장 반응은 매우 나쁜 듯 합니다.

 

 

청약이 개시되어 급하게 작성을 하다보니 내용이 좀 부실한 점이 있네요.

 

앞으로 진행되는 청약건은 시간을 두고 자세히 확인하여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본 게시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개인적인 의견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니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